1. 주식에서 평균 수익율이란?
평균수익률은 회사 주식이 1개월 동안 몇 % 상승했는 가를 연 12개월에 걸친 데이터를 수집해 평균을 구한 것이다.
2. 평균수익률만으로는 우량기업인지 판단 할 수 없다.
평균의 함정에 속지 말자. 평균 수익률이 2.5%라고 수익률이 30%가 아니다. 월별 수익률은 다양하다. 월별 수익률을 보면 데이터의 실제 상황을 조금 더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. 이런 통계량, 그것이 표준편차라고 한다.
어떤 해든 월별 수익률의 평균에 비해 표준편차가 크다. 여기선 안나타 나지만 1981년 A회사의 월평균 수익률은 2.5%인데 표준편차는 9%를 넘는다. 앞에서 표준편차 1배 정도 전후로 데이터가 나타나는 것은 평법하게 일어나는 것이라고 했다. 이것을 적용하면 1981년 월별 평균 수익율은 2.5+-9.0% (11.5)~(-6.5)범위가 된다. 즉 주식을 살때 6.5손실이 날 수 있음을 감안하고 사야한다.
3. 주가변동성이 의미하는 것
주식거래에서는 수익률의 평균값만이 아니라 표준편차도 중요하다. 이것을 주가변동성이라고 한다. 평균값에서 어느 정도의 폭으로 변동이 생기는가를 의미한다. 즉 주가변동성은 표준편차로 이해해도 된다. 주가변동성이란 위험성을 나타내는 지표다. 주가 변동성이 9% 평균에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말은 9% 올라갈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. 리스크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변동성을 쓰지만 이것은 동시에 기회를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하다.
주가변동성이 9%라면 평균값에서 18%이상 떨어지
'통계학 > 세상에서 가장 쉬운 통계학 입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7 강의 정규분포 (0) | 2025.02.21 |
---|---|
6강. 표준편차 3 (0) | 2025.02.21 |
04 강의. 표준편차 (0) | 2025.02.19 |
3강 분산과 표준 편차 (0) | 2025.02.18 |
2강 평균값의 역할과 평균값을 이해하는 방법 (0) | 2025.02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