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하이 리스크와 하이 리턴, 로우 리스크와 로우 리턴
주식 수익률의 표준편차는 주가변동성이라고 하며, 주식거래의 '리스크'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했다. 다양한 자산 운용방법들은 어느 정도의 수익률과 어느 정도의 주가변동성을 보일까? 결론 부터 말 하면 평균수익률이 높은 운용은 표준편차도 크다.
표를 못그리지만 어쨌든
평균수익률이 높은 펀드는 표준편차도 크다. 반대로 리스크를 작게 하려고 하면 평균수익률도 자동적으로 작아야만 한다.
사실 이 부분은 책을 봐야 이해가 잘 된다.
2. 샤프 지수
X의 샤프지수 = {(X의 리턴) - (국채 이자율)} / (X의 리스크)
결론 : 샤프지수는 크면 클 수록 좋다
'통계학 > 세상에서 가장 쉬운 통계학 입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8 강의 통계적 추정의 출발점 (0) | 2025.02.24 |
---|---|
07 강의 정규분포 (0) | 2025.02.21 |
5강 표준편차2 (0) | 2025.02.21 |
04 강의. 표준편차 (0) | 2025.02.19 |
3강 분산과 표준 편차 (0) | 2025.02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