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167 오랜 기간 보호한 동물(1)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59044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, 교육,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.co.krSELECT I.NAME, I.DATETIMEFROM ANIMAL_INS ILEFT JOIN ANIMAL_OUTS O ON I.ANIMAL_ID = O.ANIMAL_IDWHERE O.ANIMAL_ID IS NULLORDER BY I.DATETIMELIMIT 3이제 outer join도 쓰는 법이 감이 잡힌다. 2025. 3. 10. 오랜 기간 보호한 동물(2)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59411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, 교육,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.co.krSELECT I.ANIMAL_ID, I.NAMEFROM ANIMAL_INS IJOIN ANIMAL_OUTS O ON I.ANIMAL_ID = O.ANIMAL_IDORDER BY (O.datetime - I.datetime) DESCLIMIT 2큰 어려움이 없었다. 옛날 문제 일수록 문제가 쉽다. 이게 왜 LV3인줄 모르겠다. 2025. 3. 10. 헤비 유저가 소유한 장소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77487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, 교육,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.co.krSELECT *FROM PLACESWHERE HOST_ID IN ( SELECT HOST_ID FROM PLACES GROUP BY HOST_ID HAVING COUNT(*) > 1)마찬가지로 SQL을 이용해서 풀었다. 이 문제 부터 SQL과 WITH의 차이를 크게 못느꼈다. 어짜피 가상 테이블을 이용하는 거니 거기서 거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. 2025. 3. 10. 조건별로 분류하여 주문상태 출력하기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31113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, 교육,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.co.krSELECT ORDER_ID, PRODUCT_ID, DATE_FORMAT(OUT_DATE, "%Y-%m-%d") AS DATE_FORMAT, CASE WHEN OUT_DATE "2022-05-01" THEN "출고대기" ELSE "출고미정" END AS 출고여부FROM FOOD_ORDER마찬가지로 큰 어려움은 없다. 기존에 썼던 문법을 썼다. 2025. 3. 10. 즐겨찾기가 가장 많은 식당 정보 출력하기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31123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, 교육,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.co.kr SELECT FOOD_TYPE, REST_ID, REST_NAME, FAVORITESFROM REST_INFOWHERE FAVORITES IN ( SELECT MAX(FAVORITES) FROM REST_INFO GROUP BY FOOD_TYPE )GROUP BY FOOD_TYPEORDER BY FOOD_TYPE DESC;이번에는 서브쿼리를.. 2025. 3. 10. 13강 표본평균1 1. 관측된 하나의 데이터로 무엇을 말할 수 있는가?모집단은 불확실한 현상의 원천이다. 모집단에 어떤 수치가 어떤 상대도수로 이루어져 있는지 안다면 관측될 수치를 효과적으로 대응 할 수 있다. 그러나 모집단 수치 전체의 분포 모습을 모두 정확하게 아는 것은 불가능 하다. 모집단은 횟수가 어마어마하게 많은데 이걸 전부 관측하기가...그러나 데이터 x가 현실에서 관측되면 우리는 모집단에 대해서 할 말이 생긴다. 모평균 μ는 이 x와 가깝다는 추정이 가능하다. 평균값은 분포 중에서 선택 된 대표적인 점이기 때문이다. 만약 모표준편차 σ를 어떤 이유로 알면 모평균 μ에 대해서 자세한 추정이 가능하다.많은 데이터가 평균값에서 표준편차 2배 이내의 범위에 있다. 반대로 말하면 우리가 뽑은 데이터 x에서 σ * 2.. 2025. 3. 9. 이전 1 ··· 15 16 17 18 19 20 21 ··· 28 다음